간통죄 폐지 이유 및 년도

유용한 정보|2024. 9. 26. 00:35
반응형

각종 매체를 통해 혹은 주변을 보면, 상간남년 때문에 가정의 붕괴를 보게 되고, 이로 인해, 최악의 선택을 하기도 합니다.
간통죄 예전에는 형사 처벌이 가능했지만, 간통죄 폐지 이후에는 손해배상 청구를 통한 민사사 소송만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간통죄 폐지가 맞다 아니다 라는 개인적인 의견보다는 팩트만 전달하겠습니다. 

 

목차 

1. 간통죄 폐지 이유 및 년도 

2. 간통죄 폐지 이유

 

결혼서약불륜서약
거짓

 

1. 간통죄 폐지 이유 및 년도 

간통죄 폐지 년도 

헌법재판소에서 2016년 2월 간통죄를 폐지하게 되었습니다. 

 ㅇ 혼인과 가정의 유지는 혈벌을 통해 타율적으로 강제될 수 없다는 것이 폐지 이유였습니다. 

 

하지만 현재 까지도, 많은 사람들은 찬성과 반대의견으로 논쟁을 계속해오고 있습니다. 

폐이 이후 , 더욱더 많은 사람들이 불륜을 저지르고 있다고 하며,

이를 공개하고 자랑하는 일도 생기는 게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간통죄 폐지 이유

 

개인적인 문제로 간주되었기 때문입니다. 

  • 개인 사생활의 영역으로, 비도덕적인 행위가 맞기는 하나, 법적인 처벌은 맞지 않다고 판단하는 겁니다. 
  • 정조의 의무에 대한 무게보다는 개인의 행복이나 사생활 보고가 더욱더 중요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1953년 대한민국의 형법 제정과 함께 간통죄가 생겨났습니다. 

  • 배우자가 있는 사람이 간통한 경우 2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라고 
    • 형법 제241조에 명시되어 있었습니다. 
    • 이 경우, 상간자도 동일한 처벌을 받게 되었었습니다. 
  • 이경우, 간통죄 증명을 위해, 성관계를 했다는 증거가 있어야 하며, 이를 증빙해야 성립되었습니다. 

 

시대가 변함에 따라 

성적 자기 결정권과,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를 침해한다는 이유 등으로, 계속해서 헌법재판소에서 이슈가 되었습니다. 

  • 부적적인 인식이 여전하다는 이유 및 위헌 결정 요건이 부작 하다고 판단되면서 폐지가 된 것입니다. 

 

 

 

2. 간통죄 폐지 이유

외도는 여전히 불법 행위로 간주됩니다. 

간통죄가 폐지되었음에도, 불륜이 합법이라는 것은 아닙니다. 

  • 불륜은 여전히 불법이며,
    • 민사소송을 통해 배우자의 부장행위로 인한, 정신적 육체적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는 가능합니다.

예전에는 간통죄는 성관계 여부가 매우 중요한 열쇠였으나

현재는 상간자 소송에서의 부정행위의 폭은 매우 방대하다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간통죄를 비범죄화하는 게 추세입니다. 

아직까지도 , 그에 상응하는 위자료 상승이 이뤄지지 않은 만큼 이 부분에 대한 불만은 계속해서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

예전에는 형사 처벌이 내려진 상태에서 배상 책임까지 내려졌으나

요즘은 민사 재판에서 위자료 소송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요즘 추세를 복면 위자료는 2~3천만 원 혹은 1천만 원 정도에서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간통죄 폐지로, 형사 처벌은 사라졌으나, 이와 균형을 이룰 수 있는 방법이 보완되지 않았기에 목소리가 높아지는 건 사실입니다. 

 

끝으로 간통죄 폐지 이유에 대한 부적절함을 따지면서, 부활을 외치는 사람들은 계속해서 나올 수밖에 없을 겁니다. 
그러나 실제로 부활이 힘든 만큼, 징벌적 책임을 지게 하는 게 좋지 않나 싶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