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지원 및 비용 알아봤습니다.
우선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지원이라는 문장을 보면 100% 지원으로 오해할 수 있는데 우선 아닙니다.
* 2020년 신청을 한 경우도 2021년 출산하면 2021년 지원금액 기준으로 지원받게 됩니다.
◐ 2021년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공식 명칭: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검색창에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검색하고 찾지 못해 고생한 처남댁이 이야기해준 겁니다.
공식 명칭으로 검색하셔야 홈페이지에 접속하실 수 있습니다.
우선 인터넷보다는 유선으로 문의하시는 게 가장 빠를 겁니다.
* 보건소 담당자 직통번호 알아보기
주소지 관할 보건소 홈페이지 접속☞ 직원 검색☞ 업무분야☞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사업 담당자 찾기
이 지원책은 정부에서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을 관리해주기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산후도우미 비용을 일정부부 지원 해
줍니다.
단태아 임신인지, 몇째 출산인지에 따라 지원 금액이 달라집니다.
◐ 2021년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지원 일자
단 태아: 첫째 10일, 둘째 15일, 셋째 15일+연장 5일 가능합니다.
* 단 주말은 제외입니다.
서비스 항목은 산모 건강관리(체조, 유방관리 등), 신생아 건강관리(수유지원, 목욕 등), 산모 식사 준비,
산모 및 신생아 세탁물, 청소까지입니다.
태아 유형 | 지원 유형 | 서비스 기간 | ||
단축 | 표준 | 연장 | ||
단 태아 | 첫째 | 5일 | 10일 | 15일 |
둘째 | 10일 | 15일 | 20일 | |
셋째 | 10일 | 15일 | 20일 | |
쌍 태아(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인 산모+단태아) | 인력 1명 | 10일 | 15일 | 20일 |
인력 2명 | 10일 | 15일 | 20일 | |
삼태자 이상(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인 산모+ 쌍태아 이상) | 없음(인력 2명) | 15일 | 20일 | 25일 |
* 신청기간 및 유효기간
신청기간: 출산 예정일 40일 이전부터 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서비스 유효기간: 출산일로부터 90일 이내
- 코로나 19로 인해 한시적인 연장에 들어가고 있습니다.
◐ 2021년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신청 방법
방문신청: 지자체 관할 보건소에 방문해 구비서류 산모수첩, 산모 신분증, 맞벌이로 휴직 중이면 휴직 증명서류
온라인 신청: 공동 인증서, 남편 공동 인증서, 맞벌이 부부의 경우 가족관계 증명서 스캔본
- 지원금 계산 기준일
계산 기준은 전월 급여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합니다.
전월 건강보험료는 직장인은 전월 급여 지급명세 소입니다.
ARS: 1577-1000 국민건강보험 관리공단에 전화하시는 게 빠를 겁니다.
- 국가지원 산후도우미 지원가구수
뱃속에 있는 태아도 1인으로 산정합니다.
부모+태아까지 포함됩니다.
부모 2인 가정= 가구원 수 3인/ 한부모 가정의 가구원수는 2인으로 합니다.
- 건강보험료 계산 방법
맞벌이: 소득이 높은 사람 1인의 건강보험료 100%+소득이 낮은 사람 1인의 건강보험료 50%를 합산합니다.
건강보험료 본인 부담금 중 해당하는 가구원 수의 직장가입자 금액을 보시면 됩니다.
* 자영업자는 지역가입자 기준으로 확인 바랍니다.
위에 표는 2020년 기준 중위소득 120% 소득 기준입니다. (건강보험료)
위에 표는 2021년 기준 중위소득 120% 소득 기준입니다. (건강보험료)
위에 표는 2020년 기준 중위소득 120~150% 소득 기준입니다. (건강보험료)
위는 2021년 중위소득 120~150% 소득 기준(건강보험료)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ti n s 차이, n(직관형), s(감각형) 입니다. (0) | 2021.03.17 |
---|---|
코로나 지원금 서울시 무급휴직 지원금 지원자격 알아봤습니다. (0) | 2021.03.16 |
말티푸 성견 특징, 장점 및 단점, 품종 성격 알아봤습니다. (0) | 2021.03.12 |
노랑우산공제 가입 및 혜택 납입금 입니다. (0) | 2021.03.11 |
강아지 초콜릿 먹었을때 증상 및 강아지가 먹으면 안되는 음식 입니다. (0) | 2021.03.10 |